인생8 아저씨의 칠순 잔치 동갑내기 아저씨의 칠순 잔치에 다녀왔다. 칠순 나이를 어떻게 계산하는가를 두고 이런저런 이야기가 있는데, 환갑은 만 나이 60세에 하는 것이고, 칠순이나 팔순은 한국식 나이 70과 80이라고 한다.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며 칠순을 만 나이로 따지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내가 기억하는 큰 잔치는 외할아버지와 어머니의 환갑잔치다. 외할아버지 때는 이틀 전부터 전을 부치고 음식을 장만해 크게 상을 차려 잔을 올렸다. 자식들이 잔을 올릴 때 중년의 여인이 곁에서 소리를 했고, 하루 종일 손님들이 오갔다. 어머니의 환갑잔치는 타운의 중식당에서 했는데, 꽤 많은 손님이 왔었다. 그때도 상을 차려 잔을 올렸는데, 할아버지 때와는 달리 상에 오른 한과가 장식용이었다. 나와 형제들이 어머님 은혜와 생일 축하 노래를 .. 2025. 1. 16.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서 이 책에는 "죽음과 죽어감에 관한 실질적 조언"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나이가 들어가니 자연스럽게 죽음에 대한 생각이 많아지며 자주 죽음을 생각해 보게 된다. 알라딘 중고책방에서 이 책을 발견하곤, 죽음에 대한 철학적인 에세이라고 생각했다. 책의 내용은 내 예상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저자 ‘샐리 티스데일’은 10년 넘게 완화의료팀 간호사로 일하며 얻은 경험과 지식으로 죽음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죽음을 맞게 되는 환자와 그 가족 및 친지들이 직면하게 되는 여러 가지 상활을 아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죽음을 준비하는 지침서 같은 책이다. 사람은 누구나 결국은 죽게 된다는 운명을 안고 태어난다.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기 마련이다. 사람들은 모두 죽을 것은 알지만 언제 죽을지는 모르기 때문에 잠시 죽.. 2023. 2. 18. 인생 농촌으로 민요를 수집하러 간 ‘내’가 ‘푸구이’라는 늙은 농부를 만나 그의 과거 이야기를 듣는 것이 소설의 내용이다. 부유한 집안의 외아들이었던 푸구이는 전문 도박꾼 ‘룽얼’의 속임수에 집과 땅을 모두 잃고 농사꾼 신세가 된다. 그 후 푸구이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게 된다. 어머니가 아파 성안으로 의원을 부르러 갔다가 국민당군에 끌려가 2년 동안이나 전쟁터를 전전하다 해방이 되어 겨우 집으로 돌아온다. 어머니는 이미 돌아가셨고, 딸 ‘펑샤’는 벙어리에 귀머거리가 되어 있다. 토지 개혁이 시작되며 자신에게 땅을 빼앗았던 룽얼이 악덕지주로 공개 처형되는 것을 보며, 푸구이는 사는 것도 죽는 것도 다 운명이라고 생각한다. 1958년 인민공사가 들어서자, 마을 사람들은 집 안의 솥까지 모든 쇠붙이는 빼앗기고 공동.. 2023. 2. 6. 나를 돌보지 않는 나에게 작가 정여울의 심리테라피 “나를 돌보지 않는 나에게”를 읽었다. 책에서 진정한 성숙을 위해서는 나의 “바람직한 측면뿐 아니라 부끄러운 측면까지 전체성으로 보듬”어야 한다는 구절을 접하게 되었다. 그녀는 글쓰기를 통해 우리는 내면의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대면할 수 있다고 했다. “내가 나를 싫어하는 이유”를 쓰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아끼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를 써보는 것이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생에서 가장 후회되는 순간을” 써보고, 그다음에는 “그럼에도 나 자신이 기특했던 순간들”을 써보고, 마지막으로 “지금 가장 하고 싶은 일”을 쓴다. 순서가 중요하다. 그래야 뒤로 갈수록 더 나은, 더 깊은 나를 만날 수 있다. 그래서 나도 내가 싫은 점, 후회되는 점, 고치고 싶은 점을 먼.. 2022. 7. 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