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례4

평화의 안식을 얻게 하소서 성당에서는 누군가 세상을 떠나면 그를 위한 ‘연도’를 한다. 참석자들이 기도문에 음률을 넣어 노래로 주고받으며 이어가는 죽은 자를 위한 기도다. 선창과 리드를 할 사람이 없으면, 그냥 읽어도 된다. 코로나 펜데믹 이전에는 상을 당하면 회관에서 별도의 연도 모임이 있었다. 가족은 간단한 다과와 음료를 준비하고, 신자들이 모여 초를 켜고 망자의 사진을 앞에 놓고 연도를 드렸다. 연도가 끝나면 참석자들은 가족에게 위로의 말과 인사를 건네고 헤어졌다. 슬픔과 위로를 나누는 시간이었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도 회관에서 연도 모임이 있었다. 우리 집에서 유일한 신자인 아내와 내가 연도 모임을 사진으로 찍어 형제들에게 보내주었다. 코로나로 성당이 문을 닫자 상을 당해도 별도의 모임은 할 수 없었고, 연령회.. 2023. 4. 23.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서 이 책에는 "죽음과 죽어감에 관한 실질적 조언"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나이가 들어가니 자연스럽게 죽음에 대한 생각이 많아지며 자주 죽음을 생각해 보게 된다. 알라딘 중고책방에서 이 책을 발견하곤, 죽음에 대한 철학적인 에세이라고 생각했다. 책의 내용은 내 예상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저자 ‘샐리 티스데일’은 10년 넘게 완화의료팀 간호사로 일하며 얻은 경험과 지식으로 죽음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죽음을 맞게 되는 환자와 그 가족 및 친지들이 직면하게 되는 여러 가지 상활을 아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죽음을 준비하는 지침서 같은 책이다. 사람은 누구나 결국은 죽게 된다는 운명을 안고 태어난다.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기 마련이다. 사람들은 모두 죽을 것은 알지만 언제 죽을지는 모르기 때문에 잠시 죽.. 2023. 2. 18.
미국의 장례문화 요즘 한국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병원에 마련되어 있는 영안실로 옮겨 그곳에 빈소를 차리고 조문객을 받는 모양이다. 상가를 찾는 조문객은 조의금 봉투를 들고 문상을 가고, 가족과 친지들은 빈소를 지키며 방문하는 조문객들에게 음식을 대접한다. 장례식은 참석한 이들을 근처의 식당으로 안내하여 음식을 대접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미주에 사는 한인들도 비슷한 방법으로 장례를 치른다. 차이가 있다면 이곳에서는 빈소를 마련해서 조문객을 받는 것이 생략되는 정도다. 망자를 장의사에 모셔 놓고 장례일정을 잡는다. 장례식은 보통 교회나 장지에 있는 예배실에서 하는데 더러는 장의사에서 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 장례식 하루 전쯤에 ‘뷰잉’이라고 해서 가족과 조문객들이 관에 누운 고인의 모습을 보며 작별인사를 하는 시간을 갖는다.. 2020. 8. 9.
죽는 게 뭐라고 ‘죽는 게 뭐라고’는 시크한 독거 작가 ‘사노 요코’의 마지막 에세이 집이다. 시한부 삶을 선고받은 그녀가 호스피스 병원에서 경험한 이야기며 그녀의 죽음 철학이 들어 있는 책이다. 책에는 그녀가 신경과 의사인 ‘히라이’ 박사와 나눈 대화가 한 챕터를 이루고 있는데, 마치 선문답 같은 이야기들이다. 호흡이 멎고 심장이 멈추어도 머리카락은 자란다. 몸의 세포들 중에는 사후 24시간 정도 살아있는 것들도 있다고 한다. 사노는 마음이 가슴 부근에 있는 것 같다고 하지만, 히라이는 우리의 마음은 대뇌피질에 존재한다고 과학적으로 설명한다. 소뇌가 없으면 몸은 움직이지 못하지만 죽지는 않으며, 뇌간을 모두 들어내면 호흡을 할 수 없지만 인공호흡기를 연결하면 계속 살 수 있다. 우리가 살 수 있도록 숨을 쉬고, 혈압과.. 2020.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