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10 미국 공무원 생활 31년 내가 미국에서 공무원이 된 것은 주 정부 교통국의 공무원이었던 어떤 교우 때문이다. 그는 우연한 기회에 내게 공무원을 하면 좋을 것이라는 충고를 해 주었다. 나는 그때 낮에는 부동산 사무실에서 일을 하며 밤에는 대학에 다니고 있었다. 때마침 불어닥친 불경기 때문에 한 달에 두 번 받는 봉급이 며칠씩 늦어지고 있어 미래에 대하여 다소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미국에는 50개 주가 있고, 주마다 시와 군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공무원직이 있다. 연방 공무원이 되려면 시민권이 있어야 하지만 주 또는 지방정부의 공무원은 영주권자도 가능하다. 나는 그때 영주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주 정부 공무원에 지원할 수 있었다. 캘리포니아 주 공무원의 경우, 각 부처가 필요에 따라 수시로 시험이 있고, 채용도 수시로 한다... 2020. 10. 18. 노후대책 성당 친구들과 저녁을 먹으며 있었던 일이다. 식사를 마친 후, 술자리는 자연스럽게 남자는 남자들끼리, 여자는 여자들끼리 모여 앉아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모임의 화제는 연령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다. 20대에는 ‘사랑이 어떻고,’ ‘인생이 어떻다’는 화두를 들고 살다가, 30 대에는 어떻게 하면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는가를 화제로 삼았고, 40 대에는 사춘기 자녀 문제로 고심했고, 이제는 은퇴와 건강을 이야기한다. 그날의 화제는 은퇴와 노후대책 이야기였다. 50 대 중반의 Y는 지금 가지고 있는 생명보험이 60세가 되면 끝이 나는데 아내와 아이들을 위해 그때 다시 생명보험을 들어야 할까 보다고 했다. 난 그에게 아이들도 다 컸는데 무엇 때문에 60에 새로 생명보험을 들려하느냐며 만류했다. .. 2020. 7. 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