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작품2 나는 경비원입니다 한동안 책 이야기를 쓰지 않았다. 내가 읽은 책에 대한 소회와 기록을 남기기 위해 시작한 일인데, 어느 때부턴가 마치 글을 쓰기 위해 책을 읽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으며 원고를 생각하고, 인용할 구절에 표시를 하고. 책 읽는 일이 더 이상 재미가 없어졌다. 그냥 전처럼 재미로 책을 읽고 싶었다. ‘패트릭 브링리’의 자전적 이야기인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는 아내가 교우에게서 선물 받은 책이다. 책이 읽고 싶다고 해서 집에 있는 책을 몇 권 빌려 주었더니, 몇 달 만에 돌려주며 선물로 주었다. 난 이 책을 열기 전까지는 이런 책이 있다는 것도 몰랐다. 대학 졸업 후 시사 주간지 ‘더 뉴요커’에 다니며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보이는 뉴욕 한복판에서 치열하게 커리어.. 2024. 5. 21. 상류사회 넷플릭스에서 영화 ‘상류사회’를 보았다. 도요타 딜러에서 아내 차의 5천 마일 정비를 기다리며 보기 시작한 영화인데, 여러 번 중단이 이어졌다. 자동차 바퀴에 못이 박혀 있다고 해서 정비가 끝난 후 타이어 가게에 갔는데 마침 그곳에는 와이파이가 없었다. 결국 집에 돌아와 오후에 남어지 부분을 보았다. 대단한 영화는 아니다. 돈 주고 영화관에 가서는 보지 않을 영화다. 어디선가 보고 들었던 이야기들을 모아 놓은 인상이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정치를 하려면 돈이 있어야 한다. 쓰는 돈만큼 표가 들어오는 법이다. 돈으로 표를 산다는 의미는 아니다. 신문, 방송에 나가는 광고며 집으로 배달되는 유인물도 모두 돈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사업하는 사람들은 정치인들에게 잘 보여야 큰돈을 벌 수 있다. 그래서 떡값으로.. 2020. 10. 17. 이전 1 다음